티스토리 뷰
반응형
Firebase crashytics 를 사용하려면 Firebase cli를 먼저 설치한뒤 configure 해야 하는데, configure 가 되지 않고 아래의 오류 메시지만 뜬다.
Firebase 연동부터 문제에 부딪혔다.
찾아보니 cli를 설치할때 바이너리 파일로 설치하지말고, npm 명령을 통해서 설치하면 된다는 글이 있어 따라해보았다.
npm 명령을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node.js 를 설치해야 한다.
1. node js 사이트 가서 먼서 설치파일을 받아서 설치를 한다.
2. 설치한 node js 를 어디서든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 변수 설정을 한다.
3. npm install -g firebase-tools 명령을 입력하여 cli를 설치한다. 참고자료
cli를 설치 후 실행한 뒤 프롬프트에서 firebase login 명령을 입력하고, google 계정으로 로그인을 한다.
그리고 내가 사용할 프로젝트의 터미널 창에서 flutterfire configure 를 실행한다. 그러면 현재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firebase_options.dar 파일이 lib 디렉토리에 생성된다.
이후 firebase crashlytics 활용은 아래 영상과 그 아래 있는 페이지를 참고 하면 사용 가능 하다.
반응형
'Dart & Flutter > Error 해결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dgetBinding.instance.addPostFrameCallback 이 호출되지 않는다. (0) | 2023.09.14 |
---|---|
TextFormField 에서 text 의 vertical alignment 가 안 맞는 문제 (0) | 2023.09.11 |
ndk version disagree (0) | 2023.03.16 |
Snackbar 가 쌓이는 문제 (0) | 2023.01.16 |
Syncfusion 차트에서 그래프 안보이는 문제, 그리고 선 그래프 짤리는 문제 (0) | 2022.08.11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앱
- plugin
- 한빛미디어
- 디자인
- hide
- Flutter
- firebase
- 이미지
- 인사이트
- 다트
- UI
- 에러
- UX
- Chrome
- DART
- Syncfusion
- 앱개발
- error
- 플러터
- Bluetooth
- 크롬
- addPostFrameCallback
- 문제 해결
- BLE
- position
- TextField
- IOS
- TextFormField
- 앱 프로그래밍
- SizedBox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