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책은 해외 도서 번역서다. 국내에서는 2020년 6월에 출판되었지만 원서는 2019년에 출판 되었다. 기술서 중에서도 IT분야는 특히나 변화가 빨라서 4년전 책이라는 것을 알고서 읽어야 하나하고 잠시 고민을 했지만 읽어보았다. 유튜브 보면서 노는 3시간보다 이 책을 읽는게 더 내게 도움이 될꺼라는 생각에. 읽어보니 이번에 보았던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다트 & 플러터' 보다 더 유익했다. 글의 흐름도 더 자연스럽고 내용도 더 알 차게 느껴졌다. 기억해야할 부분 analysis-options.yaml 파일은 꼭 필요한 파일은 아니지만 있으면 더 나은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파일은 코드를 작성할 때 정적 분석이라고도 하는 린트(lint)를 수행하라고 IDE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analysis-..
회사에 Fluter 관련 책들이 4권 있는 것을 발견했다. 평소에 다 아는 것이겠지 하고 무시하다가 , 요근래 한번 읽어 보자 하는 마음이 생겼다. 그 첫번째가 "모바일 앱 개발을 위한 다트 & 플러터 - 서준수 저" 이다. 2020년 10월에 출판된 것으로 설치 설명에서 확인해보니 Flutter 1.20.2 버전을 설치하고 있다. 지금은 3.10 이 넘어갔으니...책속의 내용과 다른 부분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염두해 두고 보았다. 플러터 개요, 다트 문법, 위젯 개념, 기본 위젯 설명, 레이아웃 구성, 화면 전환 상태 관리, 애니메이션, 실전 프로젝트 의 내용으로 구성 되어있는데 대략 300페이지가 안 된다. 찬찬히 읽어보았을 때, 대부분의 내용이 내가 알고 있는 것이긴 했다. 내가 사용하지 않아서 잘..
소프트웨어 아키텍트가 어떤일을 하는지, 어떻게 하는지, 왜 하는지 궁금해서 클린 코드를 먼저 살까 하다가 이걸 먼저 사게 되었다. 프로그래머가 읽어봐야할 도서 중 하나다 보니, 이것도 다시 보고, 또 보기 위해 구입을 했다. 저자는 클린 코드를 썼던 로버트 C. 마틴. 프로그래밍 관련 도서를 보면 자주 등장하는 이름 있다. 마틴 파울러, 켄트 벡, 에릭 감마, 로버트 C. 마틴. 그래서 익숙한 이름. 책 내용 정리 아키텍처는 종착지가 아니라 여정에 더 가까우며, 고정된 산출물이 아니라 계속된 탐구 과정에 더 가까움을 이해해야 좋은 아키텍처가 만들어진다. 아키텍처는 구현과 측정을 통해 증명해야 하는 가설이다. 소프트웨어 설계도 마찬가지다. 저수준의 세부사항과 고수준의 구조는 모두 소프트웨어 전체 설계의 구..
프로그래머 블로그나 사이트에서 글을 보다보면 꼭 추천하는 책들이 있는데 이 책도 그 것들 중 하나다. 프로그래머를 위한 자기개발서 같은 느낌이다. 코딩 내적으로의 가르침뿐만아니라 외적으로 추구하거나 진행해야 하는 바에 대해서도 얘기해주 고 있다. 책을 읽을 때는 '아~ 이런부분은 나도 고려를 해야겠어' 하고 생각하지만, 읽고 얼마 시간이 지나면 까먹어 버릴 것이란걸 안다. 생각날때마다, 또는 주기적으로 읽어줘야 하겠다. 기억하고 싶은 내용 모든 개발 과정에서, 매일, 여러분이 내리는 모든 결정을 끊임없이 비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 절대 기계적으로 일하지 말라. 언제나 일하면서 동시에 생각하고, 자기 일을 비평하라. 매일같이 지금 있는 기술들을 다듬고, 여러분 기술 목록에 새로운 도구들을 추가하라. 당신에..
저자는 조용호 님이다. 초판은 2019년이지만 지금(2022년 1월에 5쇄 발행) 계속 발행되고 있는 것을 보면, 인기가 많은 책인듯하다. 예전에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던, 같은 저자의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가 쉽가 설명이 잘 되어있어서 마음에 들었었다. 그 책이 이번에 읽은 책의 프리퀄 같은 책이라는 저자의 글에 따라 다음 시리즈인 이 책을 읽게 되었다. 확실히 나에게 도움이 된다. 큰 시각에서 객체지향 프로그램의 설계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감을 잡을 수 있었다. 아마도 나와같은 비전공자라면 꼭 한번 읽어보라고 추천해주고 싶다. 기억하고 싶은 부분 설계란 코드를 배치하는 것이다. 설계는 코드를 작성하는 매 순간 코드를 어떻게 배치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나온다. 설계는 코드 작성의 일부이며 코드를..
최근 코등을하면서 어떻게하면 좀더 디버깅을 빨리, 그리고 잘 할수 있을까? 혹은 그것을 도와주는 좋은 툴들이 있을까하고 고민을 하고 있다. 아래 영상은 그걸 찾다가 발견한 것은 아니지만 보다보니 유익한 것같아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조금 정리해 둘까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vVg9It7cOfY "Jank" is like a visual stutter. Jank란 화면이 버벅거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니까 뭔가 부드럽게(우연하게) 넘어가야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 버벅거리거나 프레임을 한 두개 skip 하는 것처럼 시각적으로 nice 않는 것을 말한다. Flutter는 적어도 3개의 쓰레드르 사용한다. 첫번째는 UI 쓰레드이다. 메인 쓰레드로써 widget을 bui..
리팩터링 2판을 도서관에서 빌려와서 읽어보았다. 저자는 마틴 파울러. 프로그래밍 기초가 부족한 나에게 매우 유익한듯하다. 리팩터링 소프트웨어의 겉보기 동작은 그대로 유지한 채, 코드를 이해하고 수정하기 쉽도록 내부 구조를 변경하는 기법 리팩터링은 대부분 코드가 하는 일을 파악하는데서 시작한다. 그래서 코드를 읽고, 개선점을 찾고, 리팩터링 작업을 통해 개선점을 코드에 반영하는 식으로 진행한다. 그 결과 코드가 명확해지고 이해하기 쉬워진다. 그러면 또 다른 개선점이 떠오르며 선순환이 형성된다. 리팩터링을 효과적으로 하는 핵심은, 단계를 잘게 나눠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고, 코드는 절대 깨지지 않으며, 이러한 작은 단계들이 모여서 상당히 큰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 것이다. 리팩터링으로 인하..
- Total
- Today
- Yesterday
- UI
- error
- firebase
- 플러터
- 한빛미디어
- 크롬
- UX
- TextField
- position
- IOS
- 앱
- SizedBox
- addPostFrameCallback
- Syncfusion
- 디자인
- plugin
- 앱개발
- Bluetooth
- BLE
- Chrome
- DART
- hide
- 문제 해결
- 에러
- TextFormField
- Flutter
- 앱 프로그래밍
- 다트
- 인사이트
- 이미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