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보고 따라하면 될듯 https://medium.flutterdevs.com/video-player-in-flutter-22202be72d6e Video Player In Flutter Use Chewie To Play Videos In Your Flutter Apps medium.flutterdevs.com Web app을 만들때 video_player 패키지를 사용하면 앱을 실행했을 때 문제가 하나 발생했다. video_player로 동영상을 백그라운드로 플레이 하는 View를 포함한 OnePage 홈페이지를 만들고 있는데, 브라우저의 크기를 변경하면 동영상 view 이외의 view들의 background color가 흰색이나 흰색 비슷한 색으로 변경되는 것이었다. video_player 를 사용..
Medium에 찾은 Flutter에서 유용한 VScode 단축키 설명글 (링크) 앱을 만들면서 기본적으로 정의 해줘야 하는 것들에 대해서. 1. 해당 앱에서 사용할 Theme 정의. main.dart 파일이나, theme 파일을 만들어서 정리해두면 좋을 듯. 글씨체, 폰트사이즈, 색상 등등. 2. 화면의 크기에 반응하여 screen이 small인지, medium인지, large인지 알려주는 Class. 이렇게 하면 나중에 화면의 크기에 반응하는 boundary(pixel 값)를 쉽게 수정할 수 있다. 3. App 내에서 보여주는 text 들만 모아둔 파일. 이렇게 해놓으면, 앱에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할 시, 이때 사용될 text 파일만 다른 언어로 변경해주면 된다. 4. Debug Banner 삭제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6YADJ/btrmxKICLud/o9d2nlE1OSABAkGM6Uio8K/img.png)
오늘 공부하면서 외워야 할 것 정리 assets 폴더는 lib 와 같은 level에 만든다. 그리고 pubspec.yaml 파일에 aseets 폴더를 명시해준다. Controller에 TickerProvider 또는 vsync property는 왜 있는 것인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 flutter에서 에니메이션을 보여주는 위젯이 가려졌을 때도 Ticker의 duration에 따라 계속 애니메이션을 refresh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해당 위젯(this)을 Controller와 연결(binding)하여 해당 위젯이 가려졌을 때 controller도 refresh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 된다. (참고 링크) Web 프로그램을 만들때 화면 상단에 App bar라고 해야할지 Tab bar라고 해야할지..
Flutter 에서 코딩한 프로그램을 실행시 실행 장치가 Web(크롬)일 경우, 실행된 앱에서 이미지(네트워크를 통해 불러오는)가 로딩되지 않았다. 그리고 엑스박스 안에 "Failed to load network image" 라는 메세지가 있다. 이상하다. 네트워크에 있는 이미지가 문제가 있나? 싶어서 URL을 가져다가 크롬 브라우저 주소창에 붙여넣고 엔터를 치니 사진이 잘 뜬다. 문제를 해결하게 구글링을 했다. StackOverFlow에 있는 설명과 해결책. CORS is a mechanism that browsers use to control how one site accesses the resources of another site. It is designed such that, by default..
flutter 2.3.2 을 쓰고 있다가, 오늘 2.5.2로 업그레이드 했는데 이 때부터 웹(크롭)에서 앱을 올려 테스트 하던것에 문제가 생겼다. 마우스로 스크롤이 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상하다 싶어서 다시 모바일 에뮬레이터로 실행시켜보니, 문제없이 잘 동작했다. 웹에서 돌릴때만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다. 구글링을 해보니 flutter 2.5 버전이후부터는 웹(PC)에서 마우스를 이용한 drag를 막아 놓았다고 한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려면 ScrollBehavior 에서 dragDevices 에 mouse를 추가해줘야 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https://flutter.dev/docs/release/breaking-changes/default-scroll-behavior-drag 위의 페이지..
chart_engine.dart 를 보면 paint를 하기 위한 ChartEngine 이라는 abstract 클래스가 있다. 여기서 그래프의 label이나 text를 그리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함수(메소드)나 변수에 대하여 선언하고 있다. 이 중 drawXLabels 라는 메소드를 보면 x 축이 되는 선들을 그리는 작업을 한다. 그림을 그릴때는, 화면에서 보여지는 크기에 딱 맞게 그리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조금 더 크게 (toleranceDay 라는 변수*2만큼) 그래프의 축을 그린다. 이렇게 화면에 보여지는 것 이상으로 그리면 스크롤이 좀더 부드러워지나? 어차피 스크롤 event가 발생하면 화면에 출력될 그래프 전체를 다시 그려야 하지 않나? 아무튼 paint에서 size는 화면에 보여지는 것 뿐아니라 ..
VSCode에서 flutter code를 Chrome에서 실행시키기 위해 F5를 누르면, Failed to create server socket (OS Error: Failed to start accept) 에러가 뜬다. 이 문구를 구글에서 검색하면 해결책으로 flutter run -d chrome --web-hostname=127.0.0.1 --web-port=8080 와 같이 hostname 에 자신을 가리키는 URL을 입력해서 실행하면 된다고 한다. 하지만 실행할 때마다 일일이 저렇게 명령어를 치기에는 귀찮다. 그래찾은 방법이 .vscode 폴더(없으면 생성해서)에 launch.json 파일을 만들어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고 저장해놓는 것이다. { "version": "0.2.0", "configur..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자인
- 인사이트
- TextFormField
- 플러터
- 문제 해결
- IOS
- firebase
- Chrome
- 한빛미디어
- 에러
- UI
- 이미지
- BLE
- 다트
- addPostFrameCallback
- Flutter
- TextField
- 앱 프로그래밍
- UX
- plugin
- 앱개발
- 크롬
- DART
- Bluetooth
- error
- position
- Syncfusion
- hide
- SizedBox
- 앱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